맨위로가기

진구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구는 후한 시대의 인물로, 광한군 태수 진위의 아들이다. 유학을 배우고 율령에 통달했으며, 효렴으로 천거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163년에는 영릉군 태수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했고, 165년에는 형주 군인 주개 등의 반란을 물리쳤다. 장작대장, 남양군 태수를 거쳐 정위가 되었고, 172년에는 두태후의 장례 문제에 관여했다. 177년 사공에 임명되었으나 지진으로 면직되었고, 이후 태위가 되었지만 일식으로 면직되었다. 179년 사도 유합 등과 환관 숙청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옥사했다.

2. 생애

광한군 태수 진위의 아들로 태어났다. 젊어서 유학을 배우고 율령에 통달했다.[1] 양가 연간에 효렴으로 천거되었고, 잠시 후 내황현의 현령으로 전임되었다. 이때 위군 태수가 뇌물을 요구했지만, 진구가 뇌물을 주지 않자 태수는 화가 나서 독우에게 채찍질하게 하고 진구를 추방하려 했다. 독우가 이에 반대하자 태수는 이를 중단했다. 공부에 소환되어 고제에 뽑히고, 시어사로 임명되었다.

163년(연희 6년)[1], 계양군에서 이연 등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형주와 계양군은 진압할 수 없었다. 태위인 양병은 진구를 영릉군 태수로 임명할 것을 상주했다. 진구가 부임하자 방략을 정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165년 (연희 8년)[1], 형주의 군인 주개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계양군의 호란의 반란군 수만 명과 함께 영릉군을 공격했다. 영릉군성은 나무로 엮은 성으로 방어가 취약했기 때문에, 군중은 공황에 빠져 사람들이 피난하려 했다. 진구는 화를 내며 꾸짖고, 관리와 민중의 노소를 성 안에 들여 함께 성을 지키게 했다. 큰 나무를 활시위로 하고 깃털 화살을 화살로 삼아 당겨 쏘니, 천 보가 넘는 거리에 쏠 수 있었고, 많은 반란군을 살상했다. 반란군이 물길을 성으로 쏟아붓자 진구는 지세를 이용하여 반란군 측을 수몰시켰다. 대치한 지 십여일, 반란군은 군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중랑장 도상이 구원하러 오자 진구는 병사를 모아 도상과 함께 주개 등을 격파하고 참수했다. 진구는 위군 태수로 전임되었다.

낙양으로 소환되어 장작대장으로 임명되었고, 환제의 능원을 지었지만, 철저하게 경비를 절감했다. 남양군 태수로 나가 호족의 비행을 규탄했지만, 비방을 받아 죄에 떨어졌다. 대사면을 받고 집으로 돌아갔다.

진구는 정위로 임명되었다. 172년 (희평 원년), 두태후가 사망했다. 태후를 원망하던 환관 조절과 왕보 등은 태후의 유해를 의거에 싣고 성남의 시장에 며칠 동안 방치했다. 게다가 조절 등은 태후를 환제와 합장하지 않고, 풍귀인을 환제의 정실 부인으로 합장시키려 했다. 진구는 이함과 함께 이에 반대했고, 령제는 진구 등의 의견을 받아들여 태후를 선릉에 합장했다.

177년 (희평 6년) 7월[2], 진구는 사공으로 임명되었다. 10월, 낙양에서 지진이 일어났다[2]. 11월[2], 지진을 이유로 면관되었다. 광록대부의 벼슬을 받고, 정위·태상으로 복귀했다. 178년 (광화 원년) 9월[2], 태위로 임명되었다. 10월, 일식이 있었다[2]. 11월[2], 일식을 이유로 면관되었다. 다시 광록대부의 벼슬을 받았다. 179년 (광화 2년), 영락소부가 되었다.

10월[2], 사도 유합 등과 함께 은밀히 환관 숙청을 계획했다. 유합의 처부인 정황이 조절에게 밀고했고, 조절이 령제에게 상주하자, 진구는 옥에 갇혀 사망했다. 향년 62세.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진구는 광한군 태수 진위의 아들로 태어났다. 젊어서 유학을 배우고 율령에 통달했으며, 양가 연간에 효렴으로 천거되어 내황현의 현령으로 전임되었다.[1] 이때 위군 태수가 뇌물을 요구했으나 진구가 거절하자, 태수는 진구를 추방하려 했다. 독우가 반대하여 태수는 이를 중단했다. 공부에 소환되어 고제에 뽑히고 시어사로 임명되었다.

2. 2. 영릉 태수 시절 반란 진압

163년(연희 6년)[1], 계양군에서 이연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형주와 계양군은 진압할 수 없었다. 태위 양병은 진구영릉군 태수로 임명할 것을 상주했다. 진구가 부임하자 방략을 정하여 반란을 진압했다.[1]

165년(연희 8년)[1], 형주의 군인 주개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계양군의 호란의 반란군 수만 명과 함께 영릉군을 공격했다. 영릉군성은 나무로 엮은 성으로 방어가 취약했기 때문에, 군중은 공황에 빠져 사람들이 피난하려 했다. 진구는 화를 내며 꾸짖고, 관리와 민중의 노소를 성 안에 들여 함께 성을 지키게 했다. 큰 나무를 활시위로 하고 깃털 화살을 화살로 삼아 당겨 쏘니, 천 보가 넘는 거리에 쏠 수 있었고, 많은 반란군을 살상했다. 반란군이 물길을 성으로 쏟아붓자 진구는 지세를 이용하여 반란군 측을 수몰시켰다. 대치한 지 십여일, 반란군은 군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중랑장 도상이 구원하러 오자 진구는 병사를 모아 도상과 함께 주개 등을 격파하고 참수했다.[1]

2. 3. 중앙 관직 활동과 환관과의 갈등

젊어서 유학을 배우고 율령에 통달한 진구는 효렴으로 천거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1] 163년(연희 6년) 계양군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 영릉군 태수로 부임하여 반란을 진압했다.[1] 165년(연희 8년)에는 형주 군인 주개 등의 반란을 진압하고 위군 태수로 전임되었다.[1]

낙양으로 소환되어 장작대장이 된 진구는 환제의 능원 건축 비용을 절감했다.[1] 남양군 태수 시절에는 호족의 비행을 규탄하다 죄를 얻었으나, 대사면으로 풀려났다. 이후 정위로 임명되었다. 172년(희평 원년), 두태후가 사망하자, 환관 조절과 왕보 등은 태후를 욕보이려 했으나, 진구는 이함과 함께 이를 막았다.[1]

177년(희평 6년) 7월, 사공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낙양에서 지진이 발생하자[2] 11월에 지진을 이유로 면직되었다.[2] 이후 광록대부가 되었다가, 정위, 태상으로 복귀했다. 178년(광화 원년) 9월, 태위로 임명되었으나[2], 10월에 일식이 일어나자[2] 11월에 일식을 이유로 면직되었다.[2] 다시 광록대부가 되었다가, 179년(광화 2년) 영락소부가 되었다.

179년(광화 2년) 10월, 사도 유합 등과 환관 숙청을 계획했으나, 유합의 처부 정황이 조절에게 밀고하여 옥에 갇혀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2. 4. 삼공 임명과 면직, 그리고 죽음

광한군 태수의 진위의 아들로 태어난 진구는 젊어서 유학을 배우고 율령에 통달했다.[1] 양가 연간에 효렴으로 천거되었고, 잠시 후 내황현의 현령으로 전임되었다. 공부에 소환되어 고제에 뽑히고, 시어사로 임명되었다.[1]

163년(연희 6년), 계양군에서 이연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지 않자, 태위 양병의 상주로 영릉군 태수로 임명되었다.[1] 165년(연희 8년), 형주의 군인 주개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계양군의 호란의 반란군 수만 명과 함께 영릉군을 공격했을 때, 진구는 관리와 백성을 모아 성을 지키고 반란군을 물리쳤다.[1] 이후, 낙양으로 소환되어 장작대장이 되었고, 환제의 능원을 지을 때 경비를 절감했다.[1] 남양군 태수로 나가 호족의 비행을 규탄했지만, 비방을 받아 죄를 받았다가 대사면으로 풀려났다.[1]

172년(희평 원년), 두태후가 사망한 후, 환관 조절과 왕보 등이 태후를 욕보이려 하자, 진구는 이함과 함께 반대하여 령제가 태후를 선릉에 합장하도록 했다.[1]

177년(희평 6년) 7월, 진구는 사공으로 임명되었다.[2] 10월, 낙양에서 지진이 일어나자[2] 11월에 지진을 이유로 면관되었다.[2] 광록대부의 벼슬을 받고, 정위·태상으로 복귀했다.[2] 178년(광화 원년) 9월, 태위로 임명되었으나,[2] 10월에 일식이 일어나자[2] 11월에 일식을 이유로 면관되었다.[2] 다시 광록대부의 벼슬을 받았다.[2] 179년(광화 2년), 영락소부가 되었다.[2]

10월, 사도 유합 등과 함께 환관 숙청을 계획했으나, 유합의 처부인 정황이 조절에게 밀고하여 옥에 갇혀 사망했다.[2] 향년 62세였다.[2]

3. 가족 관계

진우(오군 태수)와 진종(여음군 태수), 그리고 진규는 모두 진구의 가족이다.

4. 평가

참조

[1] 서적 後漢書 桓帝紀
[2] 서적 後漢書 霊帝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